en ko vi

지적 장애에게 학습 특성에 따른 지도 방안

09/09/2021
장애 아동 가족을 위한 / 아동과 함께 가르치고, 행동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은/ 부모나 보호자가/ 많은 상황에서/ 혼란스러워(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어려워)하는 것을 줄이고 /장애 아동이/ 더 잘 /성숙하고 발달하도록 돕습니다.

주의집중

지적장애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은 짧은 시간과 산만함으로 특징 지어진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교수 전략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학습 초기에 단순한 자극을 제시한다.

주요 자극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극을 강조한다.

주의집중을 방해할만한 외부자극을 제거한다.

제시된 자극에 익숙해지면 조금씩 난이도를 높여간다.

적절한 자극과 부적절한 자극을 구분하는 전략을 교육한다.

과제를 작은 단위로 잘게 나누어 순차적으로 제시한다.

Phương pháp dạy học cho trẻ thiểu năng trí tuệ 1

기억력

지적장애아들의 기억력은 주로 단기기억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지적장애아들은 단기기억 속에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억전략을 자발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고 본다. 장애유아 개인에게 의미있거나 관련된 정보를 이용해 학습자료를 구성한다.

기억하기 좋도록 정보를 분류하거나 조직하여 제공한다.

심상화나 언어적 시연 등 다양한 기억전략을 지도한다.

기억전략 사용이 익숙해지도록 연습시킨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하는 방식을 연습시킨다.

Phương pháp dạy học cho trẻ thiểu năng trí tuệ (ko)

모방과 일반화

지적장애 학생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며 학습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직접적이고 세부적으로 가르쳐 줄 필요가 있다. 또한, 한 가지를 배우면 과도하게 적용시키는 과잉 일반화 경향이나 또는 배우기는 했으나 실제 상황에 적용하지 못하는 일반화 부족의 문제도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교수전략을 생각해볼 수 있다.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교사나 부모에게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부모나 교사의 행동을 관찰하고 따라해보도록 한다.

바람직한 행동을 모방할 때 즉각적인 보상을 제공한다.

다양한 상황에서 시범과 모델링을 통해 연습 기회를 충분히 제공한다.

과제를 세부화하여 부여하고 직접교수로 지도한다.

하나의 개념을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해준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예에 해당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연습을 한다.

교실에서 배운 지식을 실제로 적용하는 연습을 시킨다.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자료를 활용하여 지도한다.

인위적인 강화물보다 자연스런 강화물을 제공한다.

PHƯƠNG PHÁP DẠY HỌC CHO TRẺ THIỂU NĂNG TRÍ TUỆ 3
Thưởng khi các em bắt chước một hành vi như mong muốn.

지도방안

교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인지적, 동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도전략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도전략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과제수행 실패를 줄이기 위해 인지적 단계를 고려하여 과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이고 성취가 가능한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특정행동에 대해 즉시 피드백을 제공하고 성취에 대해 보상을 제공한다.

과제를 끝까지 마무리하고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과제 실패가 반복될 경우 새로운 접근법을 사용하거나 과제 난이도를 수정한다.

처음부터 과제수행에 개입하지 말고 적절한 언어적 단서나 그림단서 등을 통해 촉진한다.

다양한 상황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Phương pháp dạy học cho trẻ thiểu năng trí tuệ 4


 

Nguồn tin: sgf.org.vn

Tổng điểm nội dung là: 0 trong 0 đánh giá

Click để đánh giá
Bạn đã không sử dụng Site, Bấm vào đây để duy trì trạng thái đăng nhập. Thời gian chờ: 60 giâ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