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발달장애
![](/uploads/news/2021_08/intellectual-disability.jpg)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y)란
지적장애는 지적인 기능이 평균 이하인 상태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지능 발달의 장애로 인하여 학습이 불가능하거나 제한을 받고, 적응 행동의 장애로 관습의 습득과 학습에 장애가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지적장애의 정도는 매우 광범위하여 아주 경도에서 중증도까지의 장애로 나타난다.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고 필요로 하는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장애가 심한 경우 남의 보살핌을 평생 필요로 한다. 지적장애아동은 또래아이들보다 학습과 발달이 느리다. 그래서 지적장애아동들은 말하는 것, 걷는 것, 옷 입는 것, 도움없이 식사하는 것 등을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며 학교에서 학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원인
① 선천적인 이상: 다운증후군, 염색체의 이상, 페닐케톤뇨증, 크레틴증(선천성 갑상선 기능저하증) 등
② 임신 중의 이상: 어머니의 매독, 풍진, 약물 복용, 방사선 노출 등
③ 분만 시의 이상: 저산소증 상태의 지속, 분만 중의 뇌 손상 등
④ 후천적인 이상: 영유아기의 뇌염이나 뇌막염, 여러 중독, 영양실조, 갑상선호르몬 결핍, 뇌 손상 등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y)의 증상은?
► 거나, 기어다니거나, 걷는 것이 다른 아이들보다 늦다.
► 이야기하는 것도 늦게 배우며 말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 기억하는 것을 힘들어 한다.
► 사회적인 규칙 같은 것들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다른 사람들의 행동의 결과를 이해하지 못한다.
► 문제해결 능력에 어려움이 있다.
진단
미국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에 따르면,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는 개념적, 사회적, 실행적 영역에서 지적 기능과 적응 기능 모두에 결함이 나타나는 발달적 시기에 출현하는 장애입니다.
지적장애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기준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합니다. ① 임상적 평가와 표준화된 개인 지능 검사에 의해 추론, 문제 해결, 계획, 추상적 사고, 판단, 학교의 학습, 경험을 통한 학습과 같은 지적 기능의 결함을 확인 ② 개인적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감에 관한 발달적 표준과 사회문화적 표준에 충족되지 못하는 결과를 야기하는 적응 기능에서의 결함. 지속적인 지원이 없다면, 적응 결함에 의해 가정, 학교, 일터, 공동체와 같은 복합적인 환경 속에서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독립적인 생활과 같은 일상적 활동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 제한. ③ 발달적 시기에 지적 결함과 적응 결함이 시작됨. |
치료
지적장애 자체보다는 이차적인 정신 질환, 후유증 및 사회 적응에 대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아동에 대한 적응 기술 훈련, 사회성 증진 훈련, 직업 훈련 등 포괄적인 특수 교육의 프로그램이 필수적입니다. 가족의 교육은 환자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능력과 자존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지능을 호전시킬 수 있는 약물은 없습니다. 하지만 지적장애 자체가 다른 행동 장애나 정신과적 질환에 걸릴 위험성을 높습니다. 지적장애와 다른 장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약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언어치료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치료는 언어치료입니다. 표현언어, 수용언어 등 각 연령에서 기대되는 언어획득 차이 정도에 따라 치료시기와 방법이 다르지만 아동의 발달상황에 맞게 치료방법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Tri lieu ngon ngu](/uploads/news/2021_08/tri-lieu-ngon-ngu.jpg)
요즘은 놀이를 병행한 언어치료도 함께 이뤄져서 사회성이 지연된 아동들이 놀이를 통해 자기표현을 하며 언어능력을 향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음악치료
단순한 흥미가 아닌, 치료적 목적을 갖고 음악을 이용해 치료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음악활동을 통해 시행하는데 음악활동에는 음악듣기, 직접 연주하기, 음악을 듣고 느낀 감정을 표현하기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music therapy](/uploads/news/2021_08/music-therapy.jpg)
음악이 영유아들의 흥미를 돋기에 충분하므로 음악치료를 통하여 정서발달 및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정서적 행동유도, 사회성 향상 등 많은 범위로의 치료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주로 정서발달지연에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미술치료
미술치료 또한 미술활동을 통해 감정 표현하기, 정서적 안정을 취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유아가 감정적으로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정서적으로 불안할 때 효과가 큽니다.
![Art theary](/uploads/news/2021_08/art-theary.jpg)
미술치료사는 영유아가 표현한 미술활동만으로도 감정과 영유아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작업치료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활동들을 치료적 목적을 가지고 시행하는 치료입니다. 사고로 인한 장애, 발달지연으로 인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육체적, 인지적, 심리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이를 개선시킵니다. 특히 영유아의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치료는 다양한 놀이와 운동을 통해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각통합 치료
시각, 촉각, 미각, 전정감각, 고유수용감각 등 우리 신체의 모든 감각은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통합돼 이뤄지는데 이러한 감각의 발달이 지연돼 특정 부분의 감각에 과소, 과잉반응을 보이거나 전혀 통합이 이뤄지지 못해 일상생활에서 겪는 다양한 감각에 대한 반응이 지연된 영유아들에게 시행하는 치료입니다. 이는 작업치료의 기본적인 요소가 되며 보통은 작업치료를 시행하는 기관에서 감각통합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특수체육
![Giáo dục Thể chất Đặc biệt](/uploads/news/2021_08/giao-duc-the-chat-dac-biet.jpg)
사회성 지연, 운동지연 등의 발달지연 영유아들에게 효과가 높은 치료입니다. 장기간의 프로그램을 통해 영유아의 강점을 개발하고 지도점을 향상해 가는 프로그램으로 특히 집단치료일 경우에도 사회성 향상에 큰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공격성향이 있는 영유아들에게도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심리치료 및 놀이치료
![](/uploads/news/2021_08/tri-lieu-tam-ly-va-lieu-phap-vui-choi.jpg)
자폐, 정서발달지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정서적인 발달지연을 치료하는 목적의 치료입니다. 치료실은 주로 아늑하고 놀이도구들로 가득하며 그러한 놀이도구는 그냥 놀이하는 것이 아닌, 놀이 하나하나에도 어떠한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고 이를 통해 영유아의 긍정적인 행동을 이끌어내어 주는 활동이므로 효과적입니다. 특히 놀이도구 자체가 영유아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기 때문에 적응도가 높습니다.
Nguồn tin: sgf.org.vn